앱을 사용하다보면 다양한 방법으로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중에서 콘텍스트 메뉴(Context Menu, 컨텍스트 메뉴) 및 SwiftUI에서 콘텍스트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콘텍스트 메뉴는 사용자가 클릭한 위치나 선택한 항목에 따라 나타나는 팝업 메뉴로 플랫폼에 따라 콘텍스트 메뉴, 콘텍스쳐 메뉴, 바로 가기 메뉴, 빠른 메뉴 등의 다양한 명칭을 갖고 있습니다.여기서는 Apple 휴먼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HIG)의 한국어 번역을 따라 빠른 메뉴라는 명칭을 사용하겠습니다. 빠른 메뉴빠른 메뉴는 특정 동작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항목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메뉴로, 인터페이스를 어수선하게 만들지 않고 항목과 직접 관련된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Swift Charts(이하 '스위프트 차트')에 대해 코드와 함께 세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의 내용을 모르셔도 상관 없지만, 여기를 클릭하셔서 지난 글을 보고 오시면 이해에 더 도움이 됩니다. 개요 지난 시간에 보았듯, 스위프트 차트는 WWDC에서 애플이 공개한 SwiftUI 프레임워크입니다. 먼저, 스위프트 차트를 사용하여 개발하기 위해서는 Xcode 14 버전 이상이 필요하며, 지원하는 대상 OS는 iOS 16, iPadOS 16, macOS 13, Mac Catalyst 16, tvOS 16, watchOS 9 이상에서 지원합니다. 지난 시간에 스위프트 차트는 마크(marks), 스케일(scales), 축(axes), 범례(legends) 등의 구성 요소를..
진행 중이던 프로젝트에 막대형 그래프 모양이 필요해서 iOS로 차트를 그리는 방법을 찾다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Swift Charts에 대해 애플의 공식 문서 예제를 따라하며 가볍게 훑어보겠습니다. 개요 Swift Charts(이하 '스위프트 차트')는 WWDC 2022에서 애플이 공개한 SwiftUI 프레임워크입니다. Apple의 Swift Charts 문서에서는 스위프트 차트를 "데이터를 유용한 시각화 자료로 변환하기 위한 강력하고 간결한 SwiftUI 프레임워크로, 스위프트 차트를 사용하면 최소한의 코드로 효과적이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차트를 만들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스위프트 차트는 마크(marks), 스케일(scales), 축(axes), 범례(legends)..